2013년 10월 20일 일요일

인적자원관리 중소기업의 채용

인적자원관리 중소기업의 채용
[인적자원관리] 중소기업의 채용.hwp


목차
목 차
1. 주제- 중소기업의 채용

2. 주제선정배경

3. 선정 기업

4. 조사 일정

5. 인터뷰 질문&내용

ㄱ. 중소기업에서 원하는 인재관

ㄴ. 중소기업에 채용되기 위해 우리가 준비해야 하는 것들

ㄷ. 중소기업에서 이루어지는 실질적 채용관리

ㄹ. 중소기업의 인재를 얻기 위한 채용전략

ㅁ. 적성에 따른 중소기업의 선택, 평생직장이 아닌 평생직종의 의미의 중소기업


6. 인터뷰 이후 사후 평가




본문

5. 인터뷰 질문&내용

ㄱ. 중소기업에서 원하는 인재관

- 전문화 인재 or 멀티형 인재 어떠한 인재를 선호하는가?
중소기업에서는 멀티형 인재를 더 선호한다. 멀티형 인재란, 한 가지 뿐이 아닌 영업 ,재무, 기술 등 여러 업무를 소화 가능한 인재를 말한다.

- 멀티형 인재 중 에서도 하나를 잘 하면서 나머지도 이해 가능할 정도 수준인 자 or 두루 능한 자 중 어떤 인재를 선호하는가?
한 가지에 뛰어나면서 나머지 부분 에서도 케어가 가능한 수준을 가지고 있는 인재를 선호한다. 중소 기업 에서는 한 사람이 다방면의 업무를 관리해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인데 자신의 주 업무에 뛰어나고 다른 부문에서도 수준이 있는 인재가 선호된다.

- 중소기업 대표로서 어떠한 인간적 품성이 중요한가?
개인적으로 목표와 열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유는 사원이 아무리 똑똑해도 열정이 없으면 일을 하는데 있어서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업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면 대기업은 학점을 중요시 하는데 수많은 정형화된 교육훈련을 받을 인재를 뽑기 위해선 검증된 자료가 필요하며 교육 훈련을 통해 각 개인에 맞는 업무가 할당된다.



본문내용
가지 업무 예를 들면 인사과만 아는 직원이 아닌 한 직원이 전부를 주도할 수 있는 멀티형 인재를 선호한다.
ㄴ.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평균수명은 80세에 육박하는데 대기업출신들은 40대 중반의 나이에 명예퇴직을 해서 나와 자기의 전문 직종 밖에 일을 할줄 모른다. 이에 반해 중소기업에서 일을 배운 출신들은 그 쪽 방면 노하우를 깊게 알아 창업 및 자기 사업을 준비하는 CEO가 많다.
ㄷ. 지금껏 나라의 산업구조는 대기업이 지배하고 중소기업은 하청업체의 성격을 가지는 그러한 모형이었지만 사회 각 분야에서 이런 점을 지적하고 이런 구조를 바꾸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사람이 정운찬 정총리였다. 삼성에 남은 이익잉여금 중소기업 하청업체에 재분배하라는 분배모델로 이슈를 이끈 바 있다. 앞으로의 기업구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