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7일 월요일

국제화전략 한식의 세계화

국제화전략 한식의 세계화
[국제화전략] 한식의 세계화.ppt


목차
1. 한국 식품의 세계화
2. 한식의 현실
3. 국내식품 수출 및 보급 현황
4. 한식 수출 필요성
5. 한식의 특성 및 장점
6. 한식의 세계화 당위성
7. 지금이 한식 세계화 최적시기
8. 성공한 해외 사례
9. 세계 외식시장 분석
- 미국
-중국
10. 한식 세계화를 위한 제안
11. 사례 분석 - 비비고


본문
2004년 WHO : 한식을 영양적으로 균형을 갖춘 모범식으로 선정
2006년 美 Health지 : 김치를 세계 5대 건강식으로 선정
2009년 NY Times : LA의 김치 타코 요리 인기 보도
파이낸셜 타임스 : 한식을 적절한 영양적 균형을 보여주는 모범사례로 소개
굿 사마리탄 병원 : 한식을‘영양적으로 가장 적절한 음식’으로 평가

‘Global Thai Restaurant Project‘

2001년부터 시행
2004년 태국음식 세계화 본부
‘kitchen of the world‘ 설립
목적? 전 세계에 태국문화를 알리는 것
음식산업의 국제화를 적극적으로 추진
- 태국 음식의 표준화
- 음식점 매뉴얼화
태국 조리사 양성 교육 실시  
- ‘02년부터 국가가 인증하는 조리사 자격증인 ’국가기술표준 태국요리부분‘ 실시





2) 민간차원
일본 레스토랑 해외보급추진기구(JRO: Organization to promote Japanese Restaurant abroad
초밥지식해외인정제도
전국초밥상생활위생동업조합연합회에서 추진



본문내용
람회
막걸리 칵테일 쇼
막걸리,홍초, 고추장, 홍삼, 대잎차 등 다양한 제품 선보여

2. 한식의 현실
(1) 홍보의 부족- 해외 기업형 자본에 침략당한 한식
갈비= 일식?
(2) 내부관리 소홀 - 인테리어 및 매장 관리의 중요성 간과
*

2. 한식의 현실

2. 한식의 현실
(3) 오역
육회 = Six times ??!!

2. 한식의 현실
(3) 오역

2. 한식의 현실
(3) 요인

2. 한식의 현실
(3) 국내 식품 해외 수출 현황

3. 국내식품 수출 및 보급 현황
베트남의 뚜레쥬르
깔끔한 외관
친절한 서비스
오토바이 주차장
베트남의 롯데리아
웰빙컨셉
차별화된 메뉴
카페형 매장
싱가폴의 비비고
젋은 직장 여성층 공략
건강식 판매
몽골의 카스맥주
시음행사 및 판촉이벤트
부드러운 한국맥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