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20일 수요일

교육학 중학교 3학년 국어과 교재 수업 지도안-비판하며 읽기 (1) 신문과 진실

교육학 중학교 3학년 국어과 교재 수업 지도안-비판하며 읽기 (1) 신문과 진실
[교육학] 중학교 3학년 국어과 교재 수업 지도안-비판하며 읽기 (1) 신문과 진실.hwp


목차
1. 수업 설계안
2. 판서 계획
3. 자리 배치
4. 개별 학습지
5. 모둠 학습지
6. 형성 평가지


본문

1.다음 글에서 글쓴이가 가장 강조하고 있는 신문 보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윤봉길 의사가 1931년, 중국 상하이 상해(上海)에서 일본 시라카와 대장 등을 폭사(暴死)시킨 사건을 예로 들어 보자. 만약, 정확히 보도라는 것이 주관을 전혀 개입시키지 않고 거울처럼 보이는 그대로를 보도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윤 의사는 일본군의 엄숙한 대식전을 피바다로 물들인 엄청난 사건의 테러리스트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신문은 마땅히 윤 의사를 규탄하는 보도를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가 사건을 정확히 알리는 보도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윤 의사의 장거(將擧)는 우선 역사적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보도 내용의 공정성
기사 내용의 정확성
보도 내용의 주관성
보도 내용의 신뢰성
⑤ 기사 내용의 다양성

2. 다음 글을 읽고 글쓴이의 관점과 일치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텔레비전을 보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텔레비전에 마음을 빼앗기게 된다. 텔레비전을 지나치게 가까이 하게 되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해로운 친구가 되어버린다.
텔레비전은 시간을 낭비하게 하며, 가족끼리의 대화를 단절시킴으로써 가정의 분위기를 메마르게 한다. 또 시청자들의 사고와 상상의 기회를 빼앗음으로써 그들의 인간적 성숙을 방해한다. 독서까지도 화면이 대신해 줌으로써 높은 정신세계에 이르는 길을 늦추기도 한다. 또한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잃게 되고, 난폭한 행동을 본받게 될 위험성이 많다.

텔레비전은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교육 교사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문내용
계안
대단원
비판하며 읽기
단원명
(1) 신문과 진실
학 습
목 표
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러 가지 기사문을 통해 주제나 관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 흐름
교수 - 학습 활동
학습형태
학습자료(*) 및
지도상의 유의점(#)
단계
학습
과정
교사
학생
도입


(6분)
학습
환경 조성
인사를 나고 출석을 부름
- 인사를 하고 출석을 체크하여 학생들에게 수업 분위기를 조성한다.
- 모둠별로 앉았는지를 확인한다.
인사를 하고 출석에 대한 대답
- 교사와 인사를 나누고 자신의 이름이 불리면 큰 소리 로 대답하며 학습이 가능한 분위기를 만든다.
전체학습
모둠원이 잘 구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정숙한 상태를 유지(#)
선수
학습확인
선수학습 확인
- 1학년 때 배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