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독해 각저소년전의 문화컨텐츠화(현대화) 방안
목차 Ⅰ. 각저소년전에 대해 알아보기 Ⅱ. 작품 속 씨름의 특징과 활용방안 Ⅲ. 연관성을 보이는 현대작품들과의 비교분석 Ⅳ. 각저소년전의 재구성 본문 ▶ 힘이 장사 ▶ 백성들을 수탈 ▶ 전형적인 악승의 모습 ▶ 소년의 아내를 돈으로 빼앗으려 함 ▶ 소년에게 져서 똥통에 빠져 죽음을 맞이함 잠깐 ! 또 다른 의견 소년이 민중영웅적 면모보다는 탁월한 능력자의 행동을 보이고 소년 개인의 위기 해결→ 공동의 위기 해결 ▶ 중과 소년 : 선과 악의 대조적인 형상 ▶ 소년의 민중적 영웅으로서의 면모 ▶ 19세기 호민들의 지배층에 대한 공격 - 악승의 죽음 : 호민들의 의식 반영 문학적 특성 ▶ 서술의 중심 : 소년과 악승의 대결 ▶ 이야기 전달자(곽운) : 교훈성을 부여 ▶ 19세기 기록문학의 특징 -사실성 -카타르시스 온라인게임과의 연계 ▶기존의 롤플레잉, 액션 온라인게임에 npc로 출연 ▶각저소년 : 플레이어들에게 씨름관련 격투기술 전수 ▶중 : 씨름기술을 사용하는 보스 몬스터로 출연 씨름 중심 컨텐츠화의 의의 ▶ 씨름은 평화스포츠이자 민족혼의 스포츠 ▶ 국민적 관심의 부족으로 인해 쇠퇴되는 현실 ▶ 문화컨텐츠로의 활용 -씨름에 대한 관심을 되돌리기 위한 하나의 방안 게임화 ▶ 모바일 게임이 유리 ▶ 주인공 각저소년 : 씨름 소년, 천하장사 등으로 표현 ▶ 부인 :여자친구 또는 같은 길을 가는 단순한 동행자 ▶ 호감도 시스템 : 일정 이상에서 중과의 씨름 이벤트 ▶ 간단한 미니게임 :씨름기술 습득 ▶ 여러가지 대결 : 중과의 씨름 대결로 마무리 ▶ 굳이 씨름에 국한되지 않은 롤플레잉 게임화도 가능 예 : 바람의 나라 본문내용 저소년전 Ⅰ. 각저소년전에 대해 알아보기 작가 변종운 19세기 활동한 역관출신의 여항문인 변종훈이 활동하던 당시 상황 ▶18~19세기 : 여항문학의 전성기 ▶역관무역과 상업 → 상당한 경제적 지위 획득 → 새로운 문학적 성과 이룸 ▶사대부와의 교류 → 문학적으로 이름을 떨침 ▶신분적 모순에 대한 비판의식 → 격조와 절제 각저소년전 ▶평이하면서도 격조 있는 문학 ▶신분 제도에 대한 사회적 모순을 완곡하게 표현 ▶뚜렷한 비판 의식의 부재 ▶사대부들과의 친분 → 높은 평가 ▶현재 : 연구가 미진한 실정 그에 대한 평가 각저소년전 각저소년전 줄거리 ▶ 곽운 → 이자명, 황경일 → 변종운의 재구성 곽운은 자신의 힘을 자부하며 못마땅한 일은 참지를 못함 중이 주막주인에게 빚 독촉하는 모습을 보게 됨 중이 날뛰는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