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관리론 성과관리시스템 BSC -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목차 목차 Ⅰ. 성과관리의 개념 및 필요성 Ⅱ. 부산광역시의 BSC 운영개요 Ⅲ. BSC의 새로운 추진전략 본문 기업하기 좋 은 경제도시 양성이 평등하고 다함께 잘 사는 복지 건강 도시 동북아해양 물류허브 및 농수산 중심도시 빠르고 편리한 사람중심의 교통도시 세계인이 모여드는 문화관광도시 자연과 사람이 함께하는 친환경 도시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 아름답고 품격있는 도시 재정이 건실한 도시 앞서가는 자치도시 부산시는세계BSC협회와 세계적인 컨설팅기관인 미국의 팔라디움그룹이 주관하는 `2008 세계BSC 명예의 전당을 수상했다. 23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허남식 시장(오른쪽)이 성과관리 개념의 창시자인 미국 하버드대 캐플란 교수로부터 상패를 받고 있다. 본문내용 SC의 개념 및 필요성 BSC의 개념 BSC (Balanced Score Card) : 균형성과표 기존 전통적 회계중심 경영관리기법이 지니는 유형가치 위주의 재무관점의 한계점을 탈피, 조직의 비전과 전략중심으로 “고객, 프로세스, 재무, 학습성장” 등의 관점에서 균형 있게 측정, 분석, 피드백 할 수 있는 성과관리시스템 ※ 1992, 하버드대학 캐플란교수와 노튼박사가 개발 성과관리의 필요성 전통 현대 해외 BSC 도입 현황 싱가포르정부는 모든 공기업에 BSC의 도입을 의무화 정부기관의 70%가 BSC를 도입 미국은 1993년부터 GPRA(정부성과관리법)을 제정 미 육군, Coast Guard, 연방 항공청,보훈처, 지방정부 등 많은 기관들이 BSC를 도입 호주는 1987년부터 정부의 주도로 성과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