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24일 목요일

사회학 파업에 대한 심리적 기제 분석

사회학 파업에 대한 심리적 기제 분석
[사회학] 파업에 대한 심리적 기제 분석.hwp


목차
서론


본론
1. 파업이란?
(1) 정의
(2) 목적과 속성
(3) 가시성

2. 파업의 사례
(1) MBC파업
(2) 전주 버스파업
(3) 영국의 비공인 파업
(4) 베트남 내 한국 등 외국업체서 노동자 파업
(5) 월가 시위

3. ‘파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4. 인식의 심리 기제

5. 파업은 반사회적 행동인가?


결론


본문

위 그림은 1990년 초에서 2000년 초까지의 파업에 의한 근로손실일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근로손실일수는 다른 OECD국가나 EU국가와 비교할 때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0년 고용노동부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파업은 총 65건, 근로손실일수는 42만 9,000일이었고, 근로자 1,000명당 근로손실일수는 24.7일로 OECD 국가 평균(26.8일)보다 낮았으나 민주노총 50건-한국노총 10건 등으로 민주노총 소속 노조의 파업이 여전히 대부분(76.9%)을 차지하고 있어 파업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현재 지금 이 시간에도 우리가 알고 있거나 우리가 모르는 곳에서 파업이 계속되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만 보더라도 파업은 비교적 자주 발생되는 사회적 현상이다.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진 파업 사례로는 ‘현대차 노조파업’을 예로 들 수 있다. 현대자동차 노조의 파업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고, 이러한 파업이 발생할 때마다 각종 언론매체가 서로 앞다퉈 대중들에게 파업 사실을 보도하기 때문이다.
현대차 사례뿐만 아니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주 버스파업’, 그리고 요즘 가장 큰 이슈인 ‘MBC 파업’ 등으로 최근 시민들 사이에서 파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은 ‘파업’이라고 하면 노동자들이 빨간 띠를 두르고 거리에서 경찰들과 대치하는 반사회적 분위기의 이미지들을 많이 떠올릴 것이다. 이에 우리는 파업의 정의와 그 일반적 특징 및 여러 가지 파업의 일반적인 사례를 알아보고 파업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과 외국 사람들의 인식, 그리고 우리나라사람들이 파업에 대해서 그러한 생각을 가지게 된 심리적 기제를 분석하고 진정 파업이 과연 반사회적 행동인 것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려고 한다.


본문내용
비공인 파업
(4) 베트남 내 한국 등 외국업체서 노동자 파업
(5) 월가 시위
3. ‘파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4. 인식의 심리 기제
5. 파업은 반사회적 행동인가?
결론
서론
위 그림은 1990년 초에서 2000년 초까지의 파업에 의한 근로손실일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근로손실일수는 다른 OECD국가나 EU국가와 비교할 때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0년 고용노동부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파업은 총 65건, 근로손실일수는 42만 9,000일이었고, 근로자 1,000명당 근로손실일수는 24.7일로 OECD 국가 평균(26.8일)보다 낮았으나 민주노총 50건-한국노총 10건 등으로 민주노총 소속 노조의 파업이 여전히 대부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