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12일 월요일

스포츠 경영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 전략

스포츠 경영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 전략
[스포츠 경영]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 전략.hwp


목차

개요
1. 서론


2. 본론

가.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 의의
나.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전략
다. 2018년 동계올림픽 후보도시 비교
라. 2018 동계 올림픽 유치의 파급 효과
마. 2010, 2014 동계 올림픽 유치 실패 원인
바.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 가능성


3. 결론


본문
1.1.1. 독일 뮌헨

Festival of Friendship(우정의 축제)을 비전으로 제시한 독일 뮌헨은 전통과 풍부한 동계스포츠 개최경험을 바탕으로 한 최고의 동계스포츠 축제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올림픽을 단순한 경기가 아닌 참가자 모두가 즐기는 축제로 만들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젊은 세대를 위한 스포츠와 문화체험, 프렌들리 게임을 위한 지속가능성과 혁신을 개최 동기로 내세우고 있는 뮌헨은 2개의 선수촌을 운영하고 경기장간 1시간 내 도달하겠다는 컨셉이다.
IOC수석부위원장이자 유치위 이사장을 맡고 있는 토마스 바흐와 동계올림픽 피겨 2관왕인 카트리나 비트, 제3의 유치위원장인 윌리 봉그너 등 실세 3총사가 뮌헨유치위원회를 이끌고 있다. 게다가 최근 자크로게 IOC위원장이 후임 IOC위원장으로 토마스 바흐 수석부위원장을 언론에서 공식으로 언급해 유치활동에 독이 될지 약이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뮌헨은 공동개최지인 가미쉬-파르텐키르헨 지역 농민들이 올림픽시설 부지의 공여를 반대하고 있고 독일 환경단체 연합이 2018뮌헨 환경평가위원회에서 탈퇴했으며 독일 녹색당은 뮌헨 비드지지를 철회하는 등의 내부 갈등을 어떻게 조율하느냐가 과제로 남아 있다.
1.1.2. 프랑스 안시



본문내용
원들은 결정적인 순간 평창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다. 두 번의 실패라는 쓰라린 경험을 하게 된 강원도민들의 허탈함이란 이루 말 할 수 없을 것이다. 평창 동계 올림픽은 과거 정부주도만의 유치로 이루어진 국제 행사와는 달리 강원도민과 평창군민, 지방자치단체장, 정부, 민간 기업이 함께 주도하여 이루어졌다는 면에서 의미를 되집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평창 동계 올림픽은 거버넌스적(공동으로 운영한다)인 경향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도 역시 3수도전에 나선 평창의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를 향해 힘찬 날개 짓을 하고 있다. 2011년 2월 중순 IOC실사평가단이 평창/정선(설상 경기장, 올림픽선수촌, MPC, IBC 및 기자촌 등), 강릉(빙상 경기장)을 방문하면서 뮌헨2018과 1위 경쟁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