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16일 금요일

관광학 한, 일 문화재 정책 비교

관광학 한, 일 문화재 정책 비교
[관광학] 한, 일 문화재 정책 비교.ppt


목차
1.연구 배경 및 목적


2.문화재 보호의 의의


3.양국 사례 비교 분석


4.발전 방안 도출


5.질의 응답


본문
1949년 1월 26일
세계적 예술품 금당벽화 소실


사건 이후,

1월 26일 ‘문화재 화재 방지의 날’ 지정
금당벽화가 불에 타 사라져 버린 날을 영원히 있지 말자는 뜻

이듬해 ‘문화재 보호법’이 제정
매년 전국적인 소방훈련 실시

1950년 이후,
국보 건축물이 화재로 소실된 경우가 없음.


국내와 일본의 정책비교를 통해 국내문화재 보호 정책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일본 정책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발전적인 정책 모델을 제시하여

한국을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문화 강국으로 발돋움하게 하는데 이바지 하는 것에 있음


목표문화재를 보존하고, 활용을 권장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세계문화 진보에 공헌하는 것.

내용 일본의 역사나 예술에서 가치가 높은 문화재.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민속문화재,사적, 명승지, 천연기념물, 전통적 건축물 등 분류.

1975년에 문화재보호법을 개정
도,도,부,현의 교육위원회에 문화재 지정위원을 두어 문화재의 순시와 지도 및 조언을 하도록 하고 있는데 시,정,촌까지 두도록 법제화




본문내용
란 무엇인가, 조기유학의 정의와 유형
우리나라 조기유학에 대한 각종 통계자료
조기유학 실패 사례들과, 도출되는 문제점들
성공적인 조기유학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들
토론주제를 제시
발표를 마무리 하겠습니다.

연구 배경 및 목적
*

연구 배경 및 목적
문화재보호문제점
일본 사례 비교
연구의 목적
1. 낙산사 화재사건
2005년 4월 5일
강원도 삼척, 강릉, 고성을 휩쓴 큰 산불 발생
낙산사 원통보전과 여러 채의 전각이 소실.
보물 제479호 낙산사 동종이 화마에 녹음.
* 낙산사, 강원도유형문화재 제35호
*

연구 배경 및 목적
문화재보호문제점
일본 사례 비교
연구의 목적
2. 숭례문 방화 사건
2008년 2월 10일 숭례문 화재 발생
다음 날 2008년 2월 11일 오전 0시 40분경 숭례문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