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16일 금요일

조사방법론 클럽방문과 도덕성과의 상관관계

조사방법론 클럽방문과 도덕성과의 상관관계
[조사방법론] 클럽방문과 도덕성과의 상관관계.hwp


목차
1. 조사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방법

2. 조사결과

(1) 클럽 방문 행태

(2) 클럽 방문 정도와 도덕성의 상관관계

3. 조사결과 요약

(1) 조사결과 요약

4.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5. 부록 : 설문지 참조

참고문헌




본문

<이타성 이타성 : 도덕성을 구성하는 하나의 하위차원이며, 대인간 수준으로서의 친사회적 행동으로서 개인적 책임과 타인에 대한 관심을 말한다.
척도>

클럽방문횟수
평균
N
표준편차
거의가지않는다
33.0500
20
4.47772
보통으로 간다
31.3000
20
4.50847
많이 간다
29.3000
10
3.86005
합계
31.6000
50
4.51302


- 클럽 방문 횟수가 많아질수록 이타성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사회 책임성 사회책임성 : 도덕성을 구성하는 하나의 하위차원이며, 사회적 수준에서의 친사회적 행동이나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을 말한다.
척도>

클럽방문횟수
평균
N
표준편차
거의가지않는다
31.9500
20
4.19868
보통으로 간다
30.6500
20
3.45307
많이 간다
26.8000
10
5.13809
합계
30.4000
50
4.46757


- 클럽 방문 횟수가 많아질수록 클럽에 자주 가는 사람들의 사회책임성이 크게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10114; 도덕성 지수 &#8211; 클럽방문

클럽방문횟수
평균
N
표준편차
거의가지않는다
65.0000
20
6.56145
보통으로 간다
61.9500
20
5.71678
많이 간다
56.1000
10
7.04667
합계
62.0000
50
7.01892


- 합산된 도덕성도 클럽 방문 횟수가 많아 질수록 낮아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3. 조사결과 요약


본문내용
을 버리고, 타인은 깨끗하게 정도를 걷는 삶을 갖기 원하면서 자신 혹은 그 아이들에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성공하는 삶에 대해서 가르치는 모순과 또, 아이러니 하게도 살아가고 있는 우리 자신은 각자의 양심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제3자 입장에서 살펴 볼 때 우리는 다른 양심에 대해서 의심하고 수근 대며 질타한다. 이런 양심 잃은. 즉, 도덕 불감증에 걸린 현 사회에서 어쩌면 가장 질타를 받는 것은 자유를 원하는 우리 20대가 아닐까한다.
자유를 추구하는 20대의 문화를 살펴보면 그들이 가장 원하는 춤, 술, 자유를 포함하는 원초적인 놀이중 하나인 클럽이 으뜸일 것이다. 이 클럽문화는 클럽에서 논다라는 뜻의 Clubbing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20대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클럽 안에서 그

참고문헌
참고문헌




- 채승희(2002)의 도덕성 판단 척도
- Wrightsman(1974)의 Philosophies of Human Nature 중 이타주의척도
- Harris(1957)의 사회적 책임성 척도(Social Responsibility Scale)
- Zalusky(1988)의 사회적 관심 척도(Social Concern Scale)
- 오미경(1997)의 감각추구성향(sensation seeking)과 사회화 요인이남녀의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 김병석 ; 이병일(2002)의감각 추구 성향 및 도덕적 요인과 음주 운전과의 관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