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
Ⅰ. 국내경제동향
1.
대외거래
2. 생산 및 투자
3. 고용
4.
소비
5. 물가
6. 환율
7.
금융시장
Ⅱ. 국외경제동향
1. 주요국 경제
2.
국제금융시장
3. 주요 상품가격
Ⅲ. 현 경제 상황을 종합한 물가상승압력
판단
1. 국내요인
2. 국외요인
3.
물가
4. 결론 및 물가상승압력 판단
Ⅴ. 정책 과제 및
제안
본문 라. 통화량 및 유동성 ① 통화  M1(평잔)은
2010년 1/4분기 전년동기대비 14.5%로 전기(17.8%)에 비해 증가폭 둔화, M2(평잔)는 전년동기대비 9.4%증가, 전기(9.8%)에
비해 소폭 하락 - 생산 및 투자지표 개선으로 개인과 기업, 금융기관 자금의 장기 운용 증가로 인해 단기자금 유입 완화 ②
유동성  Lf(평잔)은 2010년 1/4분기 전년동기대비 8.5%로 전기(7.8%)에 비해 소폭
개선
< 통화 및 유동성 지표 총량 추이 > (단위: 조원,
%)
2006 2007 2008 2009 2009 2010 1/4 2/4 3/4 4/4 1/4 평잔 M11) 330.1 312.8 307.3 357.3 336.2
356.2 363.8
373.2 385.0 (-0.8) (-5.2) (-1.8) (16.3) (10.8) (17.6) (18.9) (17.8) (14.5) M2 1,076.7 1,197.1 1,367.7 15,08.6 1,456.2 1,491.8 1,524.3 1,561.8 1,592.5 (8.3) (11.2) (14.3) (10.3) (11.5)
(10.1) (9.9) (9.8)
(9.4) Lf 1,454.9 1,603.5 1,794.8 1,937.3 1,879.0 1,912.1 1,956.3 2,001.9 2,039.6 (7.9) (10.2) (11.9) (7.9) (8.8) (7.3) (7.8) (7.8) (8.5) 말잔 L 1,839.0 2,051.1 2,268.7 2526.4 2340.0 2414.6 2462.2 2526.4 2589.2 (11.2) (11.5) (10.6) (11.4) (10.6) (9.9) (10.3) (11.4) (10.7) 주
: 1) 2005.11.21부터 익일환매제도가 적용된 법인 MMF 제외, 2007.3.22부터는 미래가격제도가 실시된 개인 MMF도
제외 2) ()내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자료 : 한국은행, ECOS
Ⅱ.
국외경제동향
1. 주요국 경제
 미국은 주요지표들이 개선, 5월 중 실업률 소폭 하락, 그러나
민간 부문 고용은 미비하며 소매판매 증가세 둔화 - 2010년 5월 미국 실업률은 9.7%로 지난 달 9.9%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신규
일자리 창출 45.2만 개 중 민간부문 일자리는 4.1만 개에 불과  일본은 1/4분기 GDP성장률이 4.9%를
기록하였으며 소매판매, 수출, 광공업생산이 모두 증가  유로지역은 1/4분기 GDP성장률이 전분기보다 개선되었으나
5월 경기체감지수는 소폭 하락(4월 100.6 ⇨ 5월 98.4)  중국은 소비와 투자가 활기를
보이면서 산업생산이 높은 증가세 지속
<주요국 경제지표 > (전기대비,
%)
2009 2010 연간 2/4 3/4 4/4 1/4 3월 4월 5월 미국 GDP(연율) -2.4 -0.7 2.2 5.6 2.7 - - - 소매판매 -6.3 0.0 1.8 1.8 2.0 2.1 0.6 -1.2 산업생산1) -9.8 -10.4 6.4 6.9 7.6 0.3 0.7 1.2 실업률 9.3 9.2 9.6 10.0 9.7 9.7 9.9 9.7 [9.5] 주택판매(기존) 4.9 3.7 10.5 13.1 -13.9 7.0 8.0 -2.2 일본 GDP(연율)
-5.2 6.9 0.4 4.6 5.0 - - - 소매판매액 -2.3 -0.1 0.9 -0.1 2.7 0.8 0.5 -2.0 수출 -33.1 6.7 5.3 12.2 13.3 -0.3 2.3 -1.2 광공업생산 -21.9 6.5 5.3 5.9 7.0 1.2 1.3 -0.1 유로 지역 GDP(연율) -4.1 -0.4 1.6 0.5 0.8 - - - 소매판매 -2.2 0.0 -0.1 0.1 0.3 0.7 -0.9 0.2 수출 -18.3 -1.9 2.8 3.6 7.1 8.0 -2.5 ‥ 산업생산 -14.9 -2.9 0.9 2.2 4.1 1.6 0.8 ‥ 중국2) GDP 9.1 7.9 9.1 10.7 11.9 - - - 소매판매 15.5 15.0 15.4 16.5 18.0 18.0 18.5 18.7 고정투자 30.5 33.6 33.3 30.5 26.4 26.4 26.1 25.9 수출 -16.0 -23.5 -20.6 0.1 28.7 24.2 30.4 48.5 산업생산 11.0 9.0 12.3 17.9 19.6 18.1 17.8 16.5 주
: 1) 분기는 연율2) 전년동기대비3) []내는 6월 중
본문내용 국외경제동향 1. 주요국
경제 2. 국제금융시장 3. 주요 상품가격 Ⅲ. 현 경제 상황을 종합한 물가상승압력 판단 1. 국내요인 2.
국외요인 3. 물가 4. 결론 및 물가상승압력 판단 Ⅴ. 정책 과제 및 제안 Ⅰ. 국내경제동향 Ⅰ. 국내
경제동향 1. 대외거래 - 올해 들어 무역흑자 최대 5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40.5% 증가, 수입은 49.4% 증가, 무역흑자는
41.3억 달러 수입은 원자재 수입 증가세가 크게 확대되면서 전체 수입증가폭도 지난 달 보다 확대 5월 경상수지는 소득수지가 흑자로
전환되면서 흑자규모 확대 - 소득수지는 전월 크게 늘었던 대외배당금 지급이 크게 줄어들면서 전월 13.8억 달러 적자에서 3.0억 달러
흑자로 전환 자본계정은 전월의 85.6억 달러 유입초에서 119.6
참고문헌 참고자료
정운찬, 김영식
(2004). 『거시경제론』. 율곡출판사 김경수, 박대근 (2008). 『거시경제학』. 박영사 Frederic S. Mishkin
(2009). 『화폐와 금융』. 한티미디어 정운찬, 김홍범 (2007). 『화폐와 금융시장』. 율곡출판사 김신행, 김태기
(2008). 『국제경제론』. 법문사 한국무역협회 (2010). 「세계경제 주요 지표」. 한국무역협회 (2010). 「Trade
Focus」. 한국은행 (2010). 「금융안정보고서」. 한국은행 (2010). 「최근의 국내외 경제동향」. 한국은행
(2010). 「해외경제 포커스」. 한국은행 (2005). 「수요요인에 의한 물가상승압력 추정 및 시사점」. 통계청 (2010).
「산업활동 동향」「고용 동향」「소비자 물가 동향」. 관세청 (2010). 「수출입 동향」. 이은미 (2010). 「유동성 지표로
살펴본 물가상승압력 평가」. 삼성경제연구소. 배민근(2010). 「Weekly Focus」. LG경제연구소. 전종규 (2005).
「잠재 GDP를 추정을 통한 인플레이션 압력」. LG경제연구소 한국석유공사 (2010).
「해외유가동향」.
보도자료
한국은행 (2010) - 「수출입물가 동향」「1/4분기
실질국내총생산」「국제수지동향」 기획재정부 (2010) - 「일부 유럽국가 재정위험 관련 영향과 대응방향」 로이터 통신 (2010) -
「로이터 상품지수」
참고사이트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 (http://kosis.nso.go.kr)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 경제협력개발기구 (http://www.oecd.org/) 석유수출국기구
OPEC (http://www.opec.org/)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