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내 성희롱예방교육자료
목차 Ⅰ. 성희롱의 제도화 과정 Ⅱ. 성희롱 관련 법 이해 Ⅲ. 직장내 성희롱의 성립요건 Ⅳ. 성희롱의 대처방법 V. 성희롱과 사용자 책임 VI. 법적 권리구제 방법 본문 1. 직장내 성희롱의 당사자 ▶ 가해자 사업주, 직장내의 상급자, 동료, 하급자 (거래처 관계자, 고객은 제외). ▶ 피해자 사업주를 제외한 모든 근로자, 협력업체, 파견근로자, 모집채용과정에서의 구직자이다 ▶ 동성간(여성부/노동부), 부하가 상사를 상대로, 여성이 남성을 상대로 사 례 ▶ 당사자관련 성희롱 사례 : 마사회 사건, 항공사 여승무원 사건, 콜센터 상담원 : 용역업체 운전기사 가해자 경우/용역업체 식당 영양사 피해자 경우 ▶ 모집과정에서의 성희롱 사례 열차 여자 승무원을 모집, 면접시, 이직율이 높은 무역회사 사례 ▶여성이 남성을 상대로:의류직물회사 사례 ▶부하가 상사를 상대로:일 도와주는 대가로 스킨쉽 요구 사례 본문내용 여건조성을 위해 직장내 성희롱 예방을 위한 교육을 매년 1회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Contents Ⅰ. 성희롱의 제도화 과정 Ⅱ. 성희롱 관련 법 이해 Ⅲ. 직장내 성희롱의 성립요건 Ⅳ. 성희롱의 대처방법 Ⅴ. 성희롱과 사용자 책임 ⅵ. 법적 권리구제 방법 Ⅰ. 성희롱의 제도화 과정 93년 서울대 우조교 담당교수, 총장,국가 상대 5천만원 손배제기 94년 지법 : 성적 접근 및 언동 95년 고법 : 성적 괴롭힘 98년 대법 : 성희롱, 5백만원 손배판결 98년 미쯔비시 미국 자동차 성희롱 관련 470억원 손해배상 2002년 롯데호텔 2억2천 손배청구 서울지법 3천여만원 손배판결 (270명 소제기, 230명 소취하/ 21명 기각, 19명 손해배상) 99년 2월 남녀고용평등법상 직장내 성희롱 법제 하고 싶은 말 회사에서 년간 1회 교육을 실시하게 되어 있는 직장내 성희롱예방교육자료입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