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5일 수요일

인터넷마케팅 아프리카 TV 마케팅전략

인터넷마케팅 아프리카 TV 마케팅전략
[인터넷마케팅] 아프리카 TV 마케팅전략.hwp


목차
- 목차 -

1. 선정동기

2. 기업소개

3. 마케팅전략
1) 아프리카TV의 특징
2) SWOT 분석
3) STP 분석
4) 4C 분석

4. 마케팅전략 믹스
1) 제품전략
2) 가격전략
3) 유통전략
4) 커뮤니케이션 전략
5) 커뮤니티 전략
6) 브랜드 전략
7) 마케팅 계획의 실행과 조직화(7C)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
◇ 기회(OPPORTUNITY)
⦁ 권력의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
정보를 가진 사람이 권력을 갖는다고 했다. 남보다 먼저 알고. 남보다 많이 알수록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 정보를 갖지 않은 사람들 위에 설 수 있는 힘이 되어주었다. 물론 이 현상은 지금도 유효하다. 그렇다면 온라인상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정보를 타인들과 공유하는 현상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그냥 무상으로 다른 사람에게 내 정보를 나눠주는, 선의의 모습으로 볼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얼핏 보기에는 무상으로 자기 정보를 제공하는 것 같지만. 적절한 보상이 있기 때문에 네티즌들은 기꺼이 자신이 가진 정보를 나누고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도 역시권력의 개념에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권력은 이처럼 일반적인 정보의 힘과 다른 개념을 갖는다. 정보를 가진 사람이 자신의 정보를 게시물로 올리면, 정보를 받아가는 사람들은 댓글이나 리플 등으로 제품을 가져간다는 표시를 하게 된다. 꼭 댓글이나 리플이 아니더라도 그 게시물의 히트수나 다운로드 횟수 등이 그 정보가 얼마나 유용하고 가치 있는 것인지를 보여주게 된다. 따라서 게시된 정보는 그러한 지표들로 인해 다른 게시물에 비해 얼마나 경쟁력 있고 유용한 자료인지를 또 다른 사용자들에게 알려준다. 그렇게 하여 경쟁력 있고 유용한 자료라고 인정받게 되면서 그 정보를 올린 게시자의 아이디나 존재 역시 유명세를 타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그 사람이 그런 정보에 대해 일가견이 있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더 가지고 있다면 그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유명인사가 되면서 문화권력을 가지게 된다. 사이버상의 권력은 자신이 정보를 독점해서 얻는 것이 아니라 공유하면서 얻게 되는 권력이다.
초창기 UCC는 커뮤니티 게시판의 힘을 타고 순식간에 퍼져 나갔고, 정보를 가진 개인은 문화권력자가 되었다. 블로그 문화는 이 문화권력의 공식을 그대로 따른다. 지금도 유명세를 치르고 있는 사람의 미니홈피나 블로그는 하루 방문자수가 수백 명을 상회한다. 그들의 블로그에 있는 가치 있는 정보와 사진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고, 그들은 유명해지면서 사이버상에서의 권력을 취득하고, 그러한 권력을 이용하여 더 많은 정보들을 유통시킨다. 이때 등장하게 된 것이 퍼블리즌(publizen)이라는 신조어이다.
퍼블리즌은 글, 사진, 동영상 등으로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끼와 생각을 일반인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기존의 네티즌들이 익명성에 기반하여 인터넷 공동체를 꿈꾸며 공유와 문화 가치를 추구한 것에 비해, 퍼블리즌은 자신이 중심이 되어


본문내용
마케팅전략 믹스
1) 제품전략
2) 가격전략
3) 유통전략
4) 커뮤니케이션 전략
5) 커뮤니티 전략
6) 브랜드 전략
7) 마케팅 계획의 실행과 조직화(7C)
5. 결론
6. 참고문헌
1.선정동기
흔히들 TV를 보며 바보상자 라는 말을 한다. 그것은 TV가 시청자를 바보로 만들고 있다는 의미와 함께 수상기 자체의 하드웨어적 특성을 말한 것일 수도 있다. TV가 인류에 도입된 이래 가장 친숙하고 영향력 있는 매체임에도 불구하고 일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은 TV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방식에 따른 부작용과 이의 반발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이제 TV가 변하고 있다. 단지 시각과 청각의 연장수단으로서가 아닌 인간의 오감, 특히 촉각기능이 최대한 활용되는 인간 감각적 매체로 변신하고 있다. 또한

참고문헌

6. 참고문헌
YOU!UCC-세상을 바꾸는 창조세대와 UCC기업 성공전략 (김영한,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케이블TV공학 : 인터넷방송 (송병태, 건기원 2000)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아프리카TV http://www.afreeca.com
나우콤 http://www.nowcom.co.kr
판도라TV http://www.pandora.TV
곰TV http://www.gomTV.com
엠군 http://www.mgoon.com
유투브코리아 http://www.youtube.com/?gl=KR
이데일리 http://www.edaily.co.kr
연합신문 http://www.yonhapnews.co.kr
전자신문 http://www.etnews.co.kr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
경향신문 http://www.khan.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