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22일 월요일

인문학 고려전기 귀족문학

인문학 고려전기 귀족문학
[인문학] 고려전기 귀족문학.hwp


목차
6.1 쟁패와 창업의 신화적 표현
6.1.1 건국신화의 재현
6.1.2 고려의 건국신화
6.1.3 왕실혈통의 위기
6.2 향가 전통의 행방
6.2.1 고려전기의 향가
6.2.2 균여의 <보현 시원가>
6.2.3 예종의 <도이장가> 및 관련작품
6.2.4 정서의 정과정곡
6.4.3. 의천
6.4.4. 계응, 혜소, 탄연
6.5. 설화와 역사 사이
6.5.1. 민간전승의 저류
6.5.2. 화풍과 국풍
6.5.3. 비범한 인물의 탄생
6.5.4. <가락국기>
6.5.6. <삼국사기>
6.6. 고려전기 귀족문학의 결산
6.6.1. 예종시절의 풍류
6.6.2. 동조자와 비판자
6.6.3. 격동의 와중에서
6.6.4. 김부식의 시대
6.6.5. 무신란 직전의 상황
6.6.6.제주시인 고조기



본문
6.1 쟁패와 창업의 신화적 표현
6.1.1 건국신화의 재현

◆ 건국신화의 재현 과정
- 신라 말 : 국가의 수탈이 심해지면서 통치력이 약화 , 항거 세력이 도처에서 나타남
- 진성여왕을 분기점으로 신라는 영토와 주민을 보존하기 어려운 처지로 떨어지고, 전국이 군웅할거의 터전이 되었다.
- 반락세력 중 견훤과 궁예가 각기 백제와 고구려를 재흥한다고 나서 후삼국 시대 시작
- 신라가 상당기간 존속한 이유는 문화의 무게 때문이었다.
- 신라 육두품 출신 문인들이 신흥하는 세력을 찾아 한문학과 유학의 역량을 제공한 것이 시대 전환의 결정적인 계기
- 반란세력의 우두머리는 민중영웅의 전설을 건국신화로 발전시켜 건국의 유래와 정당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었다. 건국신화가 문학사에 다시금 커다란 구실을 하였으나 신화적 질서가 쉽사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신이한 인물이라고 꾸미기도 어려워 민중영웅의 전설과 건국신화의 중간적 성격을 가진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데 그쳤다.

- 견훤을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의 공통적인 내용은 견훤이 미천한 처지에서 태어난 비범한 인물이라는 것이다. 미천하면서도 비범하다는 이중성은 견훤을 영웅으로 부각시켰다.
- 후백제 건국신화는 이야기가 단편적인 것에 그치고 통치이념을 갖추지 못해 미완성이다.
- 궁예는 중세에 들어선지 이미 오래되어 일반 백성들에게도 널리 자리잡은 합리적 비판적 의식을 꺾지 못하고 백성에게 살해되었다. (고대와 중세의 차이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려주는 사례)




본문내용
항거 세력이 도처에서 나타남
- 진성여왕을 분기점으로 신라는 영토와 주민을 보존하기 어려운 처지로 떨어지고, 전국이 군웅할거의 터전이 되었다.
- 반락세력 중 견훤과 궁예가 각기 백제와 고구려를 재흥한다고 나서 후삼국 시대 시작
- 신라가 상당기간 존속한 이유는 문화의 무게 때문이었다.
- 신라 육두품 출신 문인들이 신흥하는 세력을 찾아 한문학과 유학의 역량을 제공한 것이 시대 전환의 결정적인 계기
- 반란세력의 우두머리는 민중영웅의 전설을 건국신화로 발전시켜 건국의 유래와 정당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었다. 건국신화가 문학사에 다시금 커다란 구실을 하였으나 신화적 질서가 쉽사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신이한 인물이라고 꾸미기도 어려워 민중영웅의 전설과 건국신화의 중간적 성격을 가진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데

참고문헌
- 朝鮮金石總覽(朝鮮總督府, 1919)
- 『고려사(高麗史)』,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 三國史記
三國遺事
加耶聯盟史(金泰植, 一潮閣, 1993)
首露王考(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朝鮮古史の硏究(今西龍, 1937)
三國遺事考證(三品彰英, 朝鮮學報 2930, 1964)
수로왕신화의 연구(金和經, 진단학보 67, 1989)
- 『한국문학(韓國文學)의 고증적연구(考證的硏究)』 (최강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1996)
『왕오천축국전외(往五天竺國傳外)』(이석호, 을유문화사, 1970)
「한국한문소설간사(韓國漢文小說簡史)」(장효현, 『한국고소설사의 시각』, 국학자료원, 1996)
「형성기산문시고(形成期散文試考)」(이경우, 『장덕순선생화갑기념한국고전산문연구』, 동 화문화사, 1981)
「고전문학관계기록(古典文學關係記錄) 삼편(三篇)」(박노춘, 『숭전어문학』5, 1976)
「최치원(崔致遠)의 소설성(小說性)」(조수학, 『영남어문학』2, 1975)
「신라수이전소고(新羅殊異傳小攷)」(최강현, 『국어국문학』2526, 1962196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09, 한국학중앙연구원
- 삼국사기 / 문화재청http://www.cha.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고려 예종의 통치행위에 나타난 유형적 특징과 그 정치적 배경」,김병인
- 권적[權適] / 네이버 백과사전
- 최약 / 高麗史, 高麗史節要
-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서경파와 개경파의 대립 표 / pmg 지식엔진연구소
- 이지저 [李之], 윤언이 [尹彦] / 네이버 백과사전
- 정지상 / 글 고운기(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정습명[鄭襲明], 김돈중[金敦中] / 네이버 백과사전
- 신숙 /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