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2일 화요일

한국문학 만복사저포기 작품 분석

한국문학 만복사저포기 작품 분석
[한국문학] 만복사저포기 작품 분석.pptx


목차
1.금오신화, 작가소개및줄거리

2.<만복사저포기>작품 분석
- <만복사저포기>에 투영된 김시습의 삶
- 삽입시의 소설적 기능

3.장르적 특성으로 본 만복사저포기

4.비교를 통한 <만복사저포기>
- 이전 작품들과의 비교
- 전등신화와의 비교

5.발표 종합 및 결론


본문
금오신화(金鰲新話)
▣ 금오신화?

&#9702; 한국 전기체 소설(傳奇體小說)의 효시.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로 인정

&#9702;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등 5편이전해지고 있다

&#9702; 최남선(崔南善)이 발견,
잡지 ≪계명 啓明≫ 을 통해 1927년에 국내에 소개
▣소설적 특성

주인공들이 한결같이 재자가인적(才子佳人的) 인물임.

문장 표현이 한문 문언문(文言文)으로 사물을 극히 미화시켜 표현.

일상적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내용을 그린 점 등인데, 이는 전기소설(傳奇小說)의 일반적인 성격이며 이런 점에서 중국소설 《전등신화(剪燈新話)》의 영향이 있었음을 보게 된다.


본문내용
기능
장르적 특성으로 본 만복사저포기
비교를 통한 <만복사저포기>
- 이전 작품들과의 비교
- 전등신화와의 비교
발표 종합 및 결론

금오신화 (金鰲新話)
-소개 및 줄거리

한국 전기체 소설(傳奇體小說)의 효시.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로 인정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등 5편이 전해지고 있다
최남선(崔南善)이 발견,
잡지 ≪계명 啓明≫ 을 통해 1927년에 국내에 소개
금오신화(金鰲新話)
▣ 금오신화?

주인공들이 한결같이 재자가인적(才子佳人的) 인물임.
문장 표현이 한문 문언문(文言文)으로 사물을 극히 미화시켜 표현.
일상적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