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10일 수요일

경영학 소셜 커머스 `티켓 몬스터` 기업경영사례

경영학 소셜 커머스 `티켓 몬스터` 기업경영사례
[경영학] 소셜 커머스 `티켓 몬스터` 기업경영사례.pptx


목차
1.소셜 커머스란?
2.기업사례 - 티켓 몬스터
3.결론
4.Q&A


본문
소셜 커머스의 미래


다른 사업에 비해 소자본으로 시작할 수 있고 창출되는 부가가치도 큰 신생사업이기 때문에 주로 벤처기업가들에 의해 만들어진 곳이 많다.

IT강국인 우리나라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축이 잘 되어 있는 만큼
반응이 뜨겁다 보니 올해 시장규모가 600억원, 내년도 시장규모는 30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어서 거대 자본의 유입이 시작되고 있다.

위메이크프라이스 는 오픈 전 엄청난 광고물량공세로 이미 소비자들에게 어필하여 오픈 하자마자 첫날 매출이 15억원에 달할 정도로 성공적이다.
신세계몰의 해피바이러스 역시 거대한 자본력과 기존 유통망을 활용하여 시장장악을 노리고 있다.
다음, 네이버, 네이트 등의 포탈업체들도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다.

소셜 커머스 시장은은 더 이상 벤처 시장이 아닌 주류 시장으로 탈바꿈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내용
a)를 활용하는 전자상거래의 일종으로 2005년 야후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2008년 11월 Groupon이 설립된 이후 전세계적인 공동구매형 ‘소셜 커머스’가 이슈화되었고, 국내에서도 올해 트랜드처럼 여겨지고 있다.

소셜 커머스에 열광하는 이유
유오성의 ‘한 놈만 패’는 전략으로
매일 한가지 상품을 선정하여 반값 이하의
가격제공
인기없는 물품이 아닌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관심을 가지는 품목
(주로 2,30대의 관심 품목)
소셜 커머스의 시스템
이미 구축되어있는 소셜 네트워크를 타고
레알 빨리, 레알 많은 소비자들에게 확산
상품제공자에게는 굉장한 광고효과.
반값으로 상품을 팔아도 대량판매로 인한 이득이 존재
구매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들에게도 효과적인 홍보가 가능
결국 상품제공자-중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