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2일 화요일

국문학 강원 방언조사

국문학 강원 방언조사
[국문학] 강원 방언조사.pptx


목차
1. 개관
1.1 역사적 개관

1.2 세부방언구획

1.3 강원도 문화

2. 강원 방언의 음운론적 특징
2.1 음운체계

2.2 성조와 음장

2.3 음운현상

3. 강원 방언의 문법론적 특징
3.1 조사

3.2 어미

3.3 사동법, 피동법

3.4 강원 방언의 특이 현상

4. 강원 방언의 어휘
4.1 생활에 밀접한 어휘

4.2 세부구획별 어휘차이

5. 실제 전사를 통한 현상 분석
5.1 동화 <장서리 내린 날>

5.2 우추리 이장님 방송분

6. 강원지역문화
6.1 지역행사

6.2 지역민요

7. 참고 문헌


본문
1. 개관
1.1 역사적 개관

고조선시대: 예맥으로 불림

삼국시대: 삼국의 중앙지배세력에 따라 통치가 이루어짐.

조선시대: 태조 3년(1394) 6월 도평의사사에서
강릉도와 교주도를 합하는 행정구역 개편을 건의 한 뒤,
‘강원도’라는 행정구역 생겨남.

1.2 세부방언구획

강원도는 태백산맥이라는 자연적 분계선 때문에,
동서의 교류보다는 남북의 뱃길의 교류가 더 활발하였다.
강원도 방언 역시 태백산맥을 분계선으로 하여
영서지방의 언어와 영동지방의 언어가 다른 형태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영서방언권에 속한 군들의 언어는 거의 동질성을 유지,
영동방언권에 속한 군들은 지역적으로 방언적 차이를 보이며
영동방원권만의 특징을 갖는다.

북부 영동방어권은
의문문 종결어미 ‘-니?’의 사용,
성조가 단어구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

강릉, 명주를 묶은 강릉방언권은
다른 지역방언들의 영향을 적게 받는 지리적 위치. 강릉방언권만의 어휘인 이중모음 ‘ㆉ’의 실현 등 여러 면에서 독특성 가짐.


본문내용
음운현상
3. 강원 방언의 문법론적 특징
3.1 조사
3.2 어미
3.3 사동법, 피동법
3.4 강원 방언의 특이 현상
4. 강원 방언의 어휘
4.1 생활에 밀접한 어휘
4.2 세부구획별 어휘차이
6. 강원지역문화
6.1 지역행사
6.2 지역민요
7. 참고 문헌
5. 실제 전사를 통한 현상 분석
5.1 동화 <장서리 내린 날>
5.2 우추리 이장님 방송분

1. 개관
1.1 역사적 개관
1.2 세부방언구획
1.3 강원도 문화

1. 개관
1.1 역사적 개관
고조선시대: 예맥으로 불림
삼국시대 : 삼국의 중앙지배세력에 따라 통치가 이루어짐.
조선시대 : 태조 3년(1394) 6월 도평의사사에서
강릉도와 교주도를 합하는 행정구역 개편을 건의 한 뒤,
‘강원도’라는 행정구역 생겨남.

1.2 세부방언구획


참고문헌
이상규, 방언학, 학연사, 2004
이익섭, 방언학, 민음사, 2006
남기탁외 3명, 강원전통문화총서4 방언, 국학자료원, 2002
이경진, 강원도 영동남부지방 방언, 예문사, 2004
김형규, 한국방언연구, 서울대출판부, 1974
이병근, 〈東海岸方言의 二重母音에 대하여〉,《震檀學報》36호, 震檀學會, 1973
이상복, 〈江原道 嶺東西 交叉地域 文化調査 報告(Ⅰ)(方言部門)〉,《江原文化硏究》第4輯, 江原文化硏究所, 1984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1997
이익섭, 영동 영서의 언어분화, 서울대출판부, 1982
최학근,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198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 《韓國方言資料集Ⅱ(江原道篇)》, 1990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방종성 『영동지역의 방언』, 서울:제이엔씨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