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2일 화요일

현대문학사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현대문학사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현대문학사]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pptx


목차
1.잃어버린 문학의 시대
- 한국전쟁과 분단문학
2.서사적 공간과 황폐한 삶
- 전후소설의 가능성
- 저항과 비판의 정신
- 윤리의식과 인간 탐구
- 극문학과 전통의식


본문
잃어버린 문학의시대
분단문학, 전시문잔의 양상

한국전쟁과 분단 문학
-참혹성과 이데올로기의 충동

전시문단의 양상
-한국민족 생존 자체가 문제 되었던 시기

서사적 공간과 황폐한 삶
전후 소설의 가능성
전후 소설의 가능성 – 김동리의 순수 문학
황순원, 안수길


저항과 비판의 정신 – 이범선, 전광용, 박경리



윤리의식과 인간탐구

: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구 -오영수, 정한숙,
하근찬, 오유권
여류 작가들의 활동 – 손소희, 강신재, 한말숙


극문학과 전통의식 – 차범석, 하유상, 이희재, 이근삼



본문내용
극문학과 전통의식
Contents

목 차
종군 문학
전후 문학
반공 문학
기성세대와 신세대 작가
희곡
Contents

6.25 전쟁의 배경은?

6.25 전쟁
6.25 전쟁 진행 과정
6.25전쟁
배경
미.소 냉전
남북한 정부 수립
군정실시
북한 38선 도발
유엔지원
북한의
남침
인천
상륙작전
휴전협상
중공군개입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분단문학 , 전시문단의 양상
잃어버린
문학의시대
한국전쟁과 분단 문학
-참혹성과 이데올로기의 충동
전시문단의 양상
-한국민족 생존 자체가 문제 되었던 시기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전후 소설의 가능성
서사적 공간과
황폐한 삶
전후 소설의 가능성김동리의 순수 문학
황순원, 안수길
저항과 비판의 정신이범선, 전광용, 박경리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