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2일 화요일

현대사 해방 직후 지방사회 동향

현대사 해방 직후 지방사회 동향
[현대사] 해방 직후 지방사회 동향.pptx


목차


1.전라도의 동향

2.경상도의 동향

3.기타지역의 동향


본문
1. 전라남도 건준 이전의 자치조직
청년단체 결성
- 목적 : 치안유지, 질서회복, 일본인들의 재산 반출 저지

- 단체 : 전라남도청 조선인 청년단, 화랑단(8월 15일), 광주청년단(8월 18일)

- 각 청년단체간 구성원이 겹치는 경우가 많았으며 조직의 목적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 이후, 건준의 치안대 조직에 합류하는 모습을 보인다.

2. 전라남도 건준의 조직
- 일제 총독부 하의 권력 공백을 메우고 자치를 하기 위한 단체로 조직되기 시작.
= 자발적인 자치조직, 중앙건준과의 상하관계 X

- 조직과정 : 8월 16일 조직결의 후 17일 결성식
위원장 : 최홍종 부위원장: 김시중, 강해석

- 초기의 건준 구성 : 민족주의자, 공산주의자, 언론인, 변호사, 대지주 등 = 노선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포괄적 구성

3. 전라남도 건준의 개편

설립 일주일만에 개편 단행
=보수적 온건파가 밀려나고 진보적 급진파의 조직 장악
원인 : 각자의 입장차이
- 치안대 구성문제
- 한민당 발기인 대회 명부문제
- 미국에 대한 입장
결과 : 명망가적 특성을 나타냈던 보수적 원로들이 탈락하고 진보적 인물들로 채워짐
= 혁명적 분위기에서 실무적 업무를 담당할 활동가 위주로 변모, 일제의 도 행정기구보다 더 강력한 행정조직 의도


본문내용
본인들의 재산 반출 저지
- 단체 : 전라남도청 조선인 청년단, 화랑단(8월 15일), 광주청년단(8월 18일)
- 각 청년단체간 구성원이 겹치는 경우가 많았으며 조직의 목적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 이후, 건준의 치안대 조직에 합류하는 모습을 보인다.

2. 전라남도 건준의 조직
- 일제 총독부 하의 권력 공백을 메우고 자치를 하기 위한 단체로 조직되기 시작.
= 자발적인 자치조직, 중앙건준과의 상하관계 X
- 조직과정 : 8월 16일 조직결의 후 17일 결성식
위원장 : 최홍종 부위원장: 김시중, 강해석
- 초기의 건준 구성 : 민족주의자, 공산주의자, 언론인, 변호사, 대지주 등 = 노선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포괄적 구성

3. 전라남도 건준의 개편
설립 일주일만에 개편 단행
= 보수적 온건파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