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23일 일요일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의식주 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의식주 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의식주 생활에 대해 논하시오.hwp


목차
[방통대 경제학과 4학년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의식주 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북한주민 가치관의 특징
1) 유일지배체제의 정당화
2) 집단주의 원칙의 일상화
3) 사회주의 생활문화와 전통적 생활방식의 혼재
2.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
1) 일상화된 조직생활
2) 북한의 가정생활
3) 직장생활
4) 휴가와 휴일제도
5) 북한의 명절
6) 여가생활과 여가문화
3. 북한 주민의 의식주 생활 현황
1) 배급제도와 의식주 생활
2) 북한 주민의 의생활
3) 북한 주민의 식생활
4) 북한 주민의 주생활
4. 7.1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의 변화
1) 7.1경제관리개선조치 이전 상황
2) 물가인상과 임금의 인상
3) 인민생활의 변화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북한주민 가치관의 특징
1) 유일지배체제의 정당화
북한주민들은 어린 시적부터 주체사상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는 혁명적 수령론과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사회주의 대가정론 등을 토대로 김일성-김정일 가계를 유일한 정치적 지도자로 모셔야 한다는 것을 철저하게 인식하도록 조건화된 상황에서 살아간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북한의 방송과 신문에서 주체사상을 강조하는 횟수가 다소 줄어들었고 상대적으로 ‘붉은기 사상’이나 ‘우리식 사회주의,’ ‘조선민족제일주의’ 등을 앞세우는 사례가 많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개념도 사실상 일인지배를 정당화하는 사상적 기제인 주체사상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런 의미에서 주체사상의 주요 구성요소라 할 혁명적 수령론과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사회주의 대가정론은 지금도 여전히 북한주민의 가치관을 지배하는 특징적 요소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혁명적 수령론」이란 대중과 정치적 지도자의 관계를 규정하는 이론적 근거에 해당한다. 1960년대 후반 이ㅏ후 이론적 체계를 다듬어 온 주체사상의 철학적 원리와 사회역사 원리는 “사람은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하는 존재이며 “인민대중은 사회역사의 주체”로 규정해 놓았다. 이논리 사실상 인류역사의 철학적 흐름에서 늘 논쟁의 중심을 이루던 사항이었기 때문에 새로울 것이 없다. 북한당국은 주체사상이 인류역사상 최초로 사람 중심의 사상이라는 주장을 내세우지만 사실상 이 부분이 주체사상의 독창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주체사상의 독창성은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으로서 모든 것을 결정하려면, 또 인민대중이 사회역사의 주체가 되려면 한가지 중요한 조건을 충족 시켜야 한다는 혁명적 수령론에서 찾아야 한다. 그 조건이란 다름 아니라 수령의 영도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혁명적 수령론은 “인민대중이 역사의 주체로서 지위를 차지하고 역할을 다하려면 혁명의 초고 영도자인 수령의 영도를 받는”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북한당국의 논리를 따르면 오늘날 북한주민은 역사상 최초로 “혁명의 최고 영도자인 수령의 영도를 받는 수령복”을 누리고 있기 때문에 마땅히 그 점에 대해 감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문내용
배체제의 정당화
2) 집단주의 원칙의 일상화
3) 사회주의 생활문화와 전통적 생활방식의 혼재
2.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
1) 일상화된 조직생활
2) 북한의 가정생활
3) 직장생활
4) 휴가와 휴일제도
5) 북한의 명절
6) 여가생활과 여가문화
3. 북한 주민의 의식주 생활 현황
1) 배급제도와 의식주 생활
2) 북한 주민의 의생활
3) 북한 주민의 식생활
4) 북한 주민의 주생활
4. 7.1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의 변화
1) 7.1경제관리개선조치 이전 상황
2) 물가인상과 임금의 인상
3) 인민생활의 변화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분단 이후 북한 주민의 가치관이 우리의 그것과 달라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이 부분에서는 오늘날 북한주민이 특유의 북한식 가치관을 보유하게 되는 과정을 돌이켜 보고 그 특

참고문헌
<참고문헌>

박현선, 현대 북한사회와 가족, 한울아카데미, 2003
정주신 외, 현대북한의 이해, 고려출판사, 2006
박승규, 최신 북한이해, 학문사, 2005
서재진, 또 하나의 북한 사회 : 사회구조와 사회의식의 이중성 연구, 나남출판, 1995
신지호, 북한의 개혁개방 : 과거, 현황, 전망, 한울, 2000
박호성 외, 북한사회의 이해, 인간사랑, 2002
북한연구소, 북한 총람, 1994
김승철, 북한동포들의 생활문화양식과 마지막 희망, 자료원, 2000
북한연구소, 북한총람, 1994
서동익, 인민이 사는 모습, 자료원, 1995
좋은 벗들, 북한사람들이 말하는 북한 이야기, 정토출판, 2000
통일부, 2000 북한개요, 1999
북한연구학회(편), 분단 반세기 북한연구사, 한울, 1999
통일부 http://www.mnd.go.kr/
국가정보원 http://www.nis.go.kr/kr/north/index.shtml
통일부 통일교육원


하고 싶은 말
[방통대 경제학과 4학년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의식주 생활에 대한 방통대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를 참고로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